포털과 인터넷쇼핑몰 간 ‘피할 수 없는’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두 서비스 간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인터넷 디스플레이 광고시장을 놓고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된 것. 더 많은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한 융합형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구글, 1일 배송서비스 도입=구글은 백화점 ‘메이시스’, 의류 브랜드 ‘갭’, 사무용품 전문점 ‘오피스 박스’ 등과 제휴를 맺고 고객이 이들 업체의 제품을 주문할 경우 24시간 안에 배송하는 서비스를 출시한다. 고객이 각 사이트를 일일이 찾지 않고도 구글 내에서 각 사의 상품 재고와 배송 일정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외견상으로는 아마존이 내놓은 ‘프라임 서비스’와 비슷하다. 아마존은 연간 79달러를 내면 구매 제품을 1~2일 안에 배송하는 이 회원제 서비스로 9월 말 기준 매출이 전년대비 49% 이상 늘었다. 배송 제품 수는 무제한이다.
구글의 새 서비스에는 시사점이 있다. 구글은 이 거래를 통해 앞으로 무한한 고객 데이터베이스(DB)를 확보하게 된다. 검색으로는 가질 수 없는 핵심 정보다. 추후 신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 요긴한 데이터가 된다.
◇디스플레이 광고시장이 관건=포털과 인터넷쇼핑몰과의 전쟁은 인터넷 디스플레이 광고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구글은 검색 광고에서 디스플레이 광고까지 그 영역을 넓히려는 것이다.
구글은 지난 2009년 ‘체크아웃’이라는 전자결제서비스로 이베이와 한차례 전쟁을 치렀다. 이베이는 자사 결제시스템인 페이팔과 구글의 서비스가 겹치자 판매자에게 체크아웃 사용을 금지하고 구글 검색광고를 철회했다. 구글은 결국 두 손을 들고 체크아웃 서비스를 종료했다.
이번 서비스는 체크아웃보다는 조심스러운 수준이다. 배송만 책임지는 수준이지만 고객 DB가 남는다. 누가 더 많은 고객 DB를 확보해 소매사업자들에게 광고수수료를 받는가에 따라 사업 승패가 갈린다는 것을 구글은 너무도 잘 알고 있다.
◇한국 사례가 주는 시사점=우리나라는 이미 네이버와 오픈마켓 간 ‘기싸움’이 한창이다. 네이버는 1일 방문자수 1600만명이라는 막강한 힘을 내세워 중소 인터넷쇼핑몰들의 거래를 자사 사이트로 집중시키고 있다. 네이버ID로 로그인하면 결제까지 네이버 사이트 내에서 이뤄지도록 했다. 이 때문에 오픈마켓들은 쇼핑몰사업자들이 빠져나가 거래 및 광고수수료 저하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구글은 네이버보다 절대적인 점유율이 높지 않고 새 서비스에 막대한 투자를 해야한다. 소매업체들과의 제휴에도 자금이 든다. 일부 인터넷쇼핑몰들이 무료 배송까지 나서고 있어 차별화할 포인트도 약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초기 투자가 많이 들겠지만 구글은 콘텐츠에서 전자상거래까지 도맡으려 하고, 아마존은 웹사이트 서버를 업그레이드시키며 검색 품질을 높이고 있다”면서 “둘 간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어 충돌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3월 23일 News Brief Naver의 전자상거래.. 구글의 전자상거래...카테고리 없음 2012. 3. 23. 14:26
네이버가 샵N을 오픈했다고 한다.
가격비교.. 지식쇼핑 시작해서 네이버 체크아웃 ... 그리고 샵N까지..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린것 같다.. 유아독존 네이버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말이다.
전자상거래 쪽에 있는 사람들은 이렇게 이야기 들 한다.
" 얼마나 벌겠다고 들어오는 것일까?", 정말 잘될까?
과거 다음에서도 비슷한거 하다가 ...
11번가도 시간이 꽤 걸렸는데..
일단 시장은 커가니까..
네이버 트레픽이면 뭔들 못하겠냐
등등....
긍정적 시각보다는 부정적 시각이 좀 많아 보인다.
그중에서 "트레픽이 많은데 뭔들 못하겠냐.." 여기에는 좀 다르게 생각한다.
과거 다음도 그랬고 구글도 그랬고.. 트레픽 하나는 제법 있었다..
그래서 남들 보다 쉽게 궤도에 오르기는 했다. 하지만. 결국 1등은 하지 못했고
아직까지 그리 좋은 소식은 안들린다.
어느정도까지는 가능하나 그 이상은 안된다는 것이다.
그와 비교해서 지마켓을 보자... 오늘의 지마켓이 어떻게 저렇게 되었을까?
11번가나 옥션처럼 든든한 지원금도... 트레픽도 없었다...
난 그것이 재미있다.. 다윗이 골리앗을 잡고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 것 말이다.
지금의 네이버 삽N이 어떤 결과를 보여줄지는 모른다.
이제부터 그들의 모습을 보는 것이 난 흥미롭다. 한발 떨어저서 말이다.
NHN(대표이사 사장 김상헌)이 NHN비즈니스플랫폼(대표이사 사장 최휘영, 이하 NBP)을 통해 오픈마켓형 서비스 `샵N`을 오픈했습니다.
`샵N`은 판매자가 자신의 상점을 직접 개설하고 상품정보를 등록한 후에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품 플랫폼으로, 판매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더 좋은 쇼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오픈했다고 NHN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특히 NHN은 `샵N`에 대해 ‘상품’ 리스트 위주로 구성된 기존의 오픈마켓과 달리 ‘상점’ 자체를 네이버에 등록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판매자는 샵N을 통해 자신의 상점 브랜드를 알림으로써, 고객의 충성도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이는 곧 구매와 매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했습니다.
한편 최휘영 NBP 대표는 "판매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더 좋은 쇼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탄생한 서비스가 샵N이다"라며 "샵N을 통해 소규모 판매자들의 판매기회가 늘어나고, 기존 대형몰과 소형몰이 잘 어우러진 상거래 플랫폼이 형성돼, 결과적으로 전자상거래 생태계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네이버의 오픈마켓이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NHN(대표 김상헌)은 NHN비즈니스플랫폼(대표 최휘영, 이하 NBP)을 통해 오픈마켓형 서비스 '샵N'을 오픈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서비스를 시작한 '샵N(shop.naver.com)'은 판매자가 자신의 상점을 직접 개설하고 상품정보를 등록한 후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다.
NHN 측은 '샵N'이 상점 자체를 네이버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된다고 설명했다. 네이버에서 다양한 상품 및 상점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는 얘기다.
'샵N'과 연계된 '네이버 체크아웃'을 통해 바로 결제가 가능해 상품을 검색하고 쇼핑몰에서 구매를 할 때 매번 회원가입을 해야 하는 불편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샵N'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제공받는 소규모 적립금들을 모아 '네이버 마일리지'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최휘영 NBP 대표는 "샵N은 판매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더 좋은 쇼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탄생한 서비스"라며 "샵N을 통해 소규모 판매자들의 기회가 늘어나고, 전자상거래 생태계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
[AD] 중소기업 Solution Portal Smart SME. namose-script> namose-script> namose-script=""> /><아마존의 프라임 배송 서비스 광고 한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