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월 28일 News Brief 모바일 지급 결제 국가 표준화..
    카테고리 없음 2012. 3. 28. 09:13

      좀 아쉽다.. 기존 사업자들의 이해관계를 너무 고려하지 않았나 싶다.

    왜 그래야 되나.. 물론 기사에서 처럼 중복투자를 막고.. 어쩌고 저쩌고..

    우리나라에서 기술표준이란것이 생기고 나면.. 더이상 신규 사업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기존 대기업, 기존 value chain상의 강자가 독점적으로 먹이사슬을 만든다.

    즉 새로운 사업기회는 생기지 않는  것이다.  벤처는 들어갈 틈이 없다.

    뻔하지 않은가? 통신사, 카드사, 밴(PG)사 이양반들 돈벌이 연장이다..

    답답하다.. 신기술에 새로운 운영주체가 생겨야 새로운 돈벌이 새로운 고용창출이

    발생할텐데.. 

    그리고  정말 거시적으로 봐야 하지 않나... 미국도 아직 표준화가 안된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표준화해서 어쩔려고...

    미국이나 일본이 표준화를 못해서 안하나? 몰라서 안하나? 아직 표준화 단계에

    이르지 않았기 떄문이다. 잘못된 표준화는 3대를 말아 먹는다...

    기존 업계의 밥그릇 지켜주기일 뿐이다.

    과거에 WAP이라는  핸드폰에서 인터넷 접속하는 방식을 정한적이 있었다.

    이거 때문에 우리나라에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발전이 어떻게 되었는가?

    누가 돈을 벌었는가? 통신사하고 일부 게임회사들만 돈벌었다. 

    대중은 별로 이득 없었다..

    기술의 다변화가 극에 달했을 때.. 정말 수많은 사람들이 자기의 이익을 위해

    열심히 자기만의 솔루션을 대놓고 경쟁했을 때.. 표준화에 어울리는 시스템이나

    솔루션이 나온다.

    지금도 마찮가지다.. 많은 사람들은 모른다 지금의 기술 표준화로 인한

    가장 큰 이득을 누가 얻고 있는지..  또 엄청난 밥그릇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뜨고 빼앗기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 지급결제 국가표준 제정

    모바일 신용카드·대면거래·비대면거래 등 고시

    2012년 03월 28일 03:40 환경일보 김영애 기자

     

     [환경일보 김영애 기자] 최근 통신·금융·신용카드가 융합된 모바일 지급결제(M-Payment)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모바일시장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지급결제 국가표준(KS)이 제정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서광현)은 지난 1년여간 부처별 업무 협의 및 ‘모바일 지급결제 표준화협의체’를 통해 사업자간 이해관계를 조율해 업계간 상호호환이 가능하도록 통합한 모바일 신용카드, 대면거래, 비대면거래 등 3개 분야에 대한 국가표준(KS)을 제정한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새롭게 나타날 모바일 지급결제 신규 서비스 시장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관련 산업계를 비롯해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개방형 모바일 지급결제 표준화 포럼을 운영해 향후 표준수요를 적시에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제정된 국가표준(KS)은 예를들어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에 내장된 모바일 신용카드(KSX6928-1)를 활용해 일반 플라스틱 신용카드처럼 음식점에서 동글이(RF통신모듈)에 접촉시켜 음식값을 지불하는 대면결제(KSX6928-2)와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해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고 대금을 지불하는 비대면결제(KSX6928-3) 등이 가능하도록 필수적인 상호호환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기술표준원은 이번 제정된 국가표준(KS)으로 모바일 지급결제분야 시스템간 상호호환성 문제가 해결됨으로써 업계간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향후 다양한 응용서비스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모바일 지급결제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해 관련 부처와 협조를 통해 단계적으로 모바일 현금카드, 모바일 교통카드 등의 표준화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모바일 지급결제시스템이 해외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국제 표준화도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